6. 재난 및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인식
1) 재난에 대한 일반적 인식
|
긍정 (그렇다 + 매우 그렇다) |
보통 |
부정 (그렇지 않다 + 전혀 그렇지 않다) |
나 또는 내 주변에서 재난이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다. |
83.2 |
10.3 |
6.5 |
우리 사회는 재난 이후 대처에 취약하다. |
74.4 |
17.1 |
25.5 |
재난 발생 시 어디에 도움을 요청할지 알고 있다. |
6.5 |
8.4 |
49.6 |
- 우리나라 사람들은
‘나 또한 내 주변에서 재난이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다’(긍정83.2%)고 인식하고 있으나,
’우리 사회가 재난 이후 대처에 취약하며‘(긍정74.4%), 응답자들은
(갑작스런) 재난 발생 시 어디에 도움을 요청할지 잘 알지 못한다‘(부정 49.6%)고 응답함.
- 전반적으로 재난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나, 사회적인 대처가 취약하고, 재난 발생 시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 및 기관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음.
2)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인지도 및 인지 수준
연령별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인지도
|
들어본적 있음 |
처음 들어봄 |
10대 |
18.1 |
81.9 |
20대 |
23.9 |
76.1 |
30대 |
35.4 |
64.6 |
40대 |
52.9 |
47.1 |
50대 |
48.7 |
51.3 |
60대 이상 |
41.9 |
58.1 |
3) 재난심리지원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
[BASE : 전체(1,000명)]
( 필요한 이유 : 상위 7순위 ) |
경기도 전체 |
안산시민 |
정신적/심리적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|
38.8 |
44.3 |
피해자들이 일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돕기 위해 |
15.1 |
15.9 |
재난에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어서 |
6.4 |
4.9 |
국가적 차원에서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|
6.1 |
5.3 |
많은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|
5.6 |
7.9 |
개인이 혼자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|
5.1 |
3.0 |
전문적인 치료 및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에 |
4.3 |
3.8 |
*출 처: 4.16세월호 참사 이후,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재난심리지원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조사보고서
발행기관: 안산온마음센터
연구기관: 한국리서치